노인단독 가구 월소득188만원 이하 기초연금 수령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단독 가구 월소득188만원 이하 기초연금 수령

반응형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연금소득 등 소득과 일반재산, 금융재산, 부채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으로 산출한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2021년 8720원→2022년 9160원)을 반영해 근로소득 공제액을 올해 98만원에서 103만원으로 샹항한다. 일하는 노인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초연금 수급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조치다. 개인별 기초연금액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연금액은 올해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해 내년 1월 중 고시할 예정이다. 올해 기준연금액은 30만원이었다. 가구 유형, 소득인정액 수준, 국민연금 급여액 등에 따라 감액된다.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주소지 무관)에서 신청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국민연금공단 지사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직접 집으로 찾아가 접수를 받는 ‘찾아뵙는 서비스’(전화문의 1355)도 제공하고 있다. 2022년 만 65세가 되는 사람은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다.

기초연금이 도입된 2014년 435만명이던 수급자는 2022년 약 628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예산은 도입 당시 6조9000억원에서 내년 20조원으로 약 2.9배 늘었다. 기초연금 최대 지급액도 제도 도입 시 20만원에서 2021년 3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됐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