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굴사(佛窟寺)는 팔공산 자락의 무학산(舞鶴山)에 위치하고 있다. 불굴사 옆에 있는 석굴에서 원효대사가 수행한 것을 계기로, 690년 옥희(玉熙) 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홍주암은 불굴사 옆 200여m 떨어진 높다란 바위중턱에 있는 석굴이다.
김유신은 이곳에서 삼국통일을 염원하며 수련했는데, 그의 나이 17세에 이곳에서 신인(神人)으로부터 공부했다고 전한다. 전망이 탁 트인 기도처로 조성되어 있고, 철로된 계단과 난간을 설치하여 접근이 양호하다.





불굴사 적멸보궁이다.
부처님께 절을하고 오른쪽 옆을지나 홍주암을 오른다.
이곳은 김유신장군이 수행했던곳으로 소원을
잘들어준다는 일화가 있다
갓부처바위 운문사사리암 홍주암등 경산에서는 꽤유명하다.








홍주암 다갔을 무렾 작은 바위굴통로가 계속된다
부처님상도 있고 나한상도 있었다
여기서 기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바위굴은 천상계를 이어주는 통로인양 신령스럽기까지하다




마지막 계단을 통과하면 10평남짓 독성각이 나온다
이곳에서 펼쳐지는 앞쪽전망이 압권이다
옷매무시를 고르게하고 독성전앞에 무릎을꿇고 기도를하고 소원을빌어본다

반응형